본문 바로가기
무역

무역용어 T/T(외환통장 계좌이체) L/C(신용장) 개념 정리

by just so so 2022. 7. 14.
SMALL

무역에서 모르면 안 될 대표적인 2가지 결제 방식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. 첫 번째는 최근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T/T(외환통장 계좌이체) 결제 방식이고, 두 번째는 안전하게 거래가 가능한 L/C(신용장) 결제 방식입니다. 안전한 무역을 하기 위해 두 가지 방식의 장단점을 확실히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.



T/T(외환통장 계좌이체)

  • Telegraphic Transfer의 약자 : 수입자가 수출자의 외환통장으로 계좌이체하는 것
  • T/T 조건 분류
    • 돈 먼저 = 사전송금(수출자에게 유리)
      • 리스크 : 매수인의 상업위험(돈을 먼저 보내주고 물품을 못 받을 위험)
    • 물건 먼저 = 사후송금(수입자에게 유리)
      • 리스크 : 매도인의 신용위험(물품을 먼저 보내주고 돈을 못 받을 위험 존재)
  • 필요한 정보
    1. 계좌번호
    2. 은행명
    3. 은행 주소
    4. SWIFTCODE
  • 특이사항 : 수입자와 수출자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거래가 이루어짐
  • 장점 : 1)저렴한 수수료, 2)간단한 절차
  • 단점 : 상업위험 및 신용위험 존재(해당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방안이 L/C 결제)



L/C(신용장)

  • Letter of Credit의 약자 : 은행을 통한 신용 거래(수입자가 거래은행에 의뢰)
    •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모든 조건을 충족하면 은행이 반드시 대금을 지급하겠다는 약속, 안전결제 시스템
  • L/C 조건 분류
    1. L/C at sight(수출자에게 유리)
      • 출고/선적 후 구비서류를 가지고 은행에 네고(Nego)를 하고, 서류에 하자가 없을 시 바로 수출자에게 돈을 지급
    2. L/C usance(수입자에게 유리)
      • 항상 기간과 같이 사용됨. EX) 30day usance = 은행에 네고 서류를 제출하고 통과되면, 30일 후에 돈을 지급
  • 절차
    1. 매도인(Beneficiary = 수혜자, 수익자)과 매수인(Applicant = 개설의뢰인)이 신용장으로 결제할 것을 합의
    2. 매수인은 자신의 거래은행(개설은행)을 찾아가서 신용장을 개설해달라고 요청
      • 신용장 요구 서류(신용장 개설 요청 시 은행한테 정확한 지시 필요)
        1. 상업송장(거래명세서)
        2. 선하증권(운송서류)
        3. 포장명세서(선적상태)
        4. 보험증권(위험회피)
        5. 원산지증명서(관세혜택)
      • 신용창 초안(Draft)을 메일로 매도인에게 전달
    3. 신용장 개설 후 매도인에게 신용장 전달(Advise = 통지)
      • 개설은행(Issuing Bank)이 매도인의 거래은행(Advising Bank = 통지은행)에 신용장 전달 요청
      • 매도인의 거래은행(통지은행)이 매도인에게 신용장 전달
    4. 통지받은 매도인은 신용장에 적힌 조건과 서류 확인 후, 조건대로 실제 선적 업무 진행
      • 신용장 초안(Draft)과 통지은행으로부터 받은 정식 신용장을 비교하여 변경사항 없는지 확인
    5.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서류 구비 후, 통지은행에 제출하여 네고(=매입) 수령
      • 통지은행 -> 개설은행 -> 매수인(개설의뢰인) 순으로 서류 전달 및 매수인 서류 심사
      • 매수인(개설의뢰인) -> 개설은행 -> 통지은행 -> 매도인 순으로 정산
  • 특이사항 : T/T의 단점인 상업위험 및 신용문제 해결
  • 주의사항 : 은행은 서류만 검토 후 대금 지불(실물, 서류 차이 발생 가능)
  • 장점 : 신용 위험의 회피와 은행의 지급 보증을 통한 안정적인 대금 회수
  • 단점: 1)신용장 조건에  맞는 서류 제출 및 심사의 엄격, 2)수수료 발생 및 담보 설정 필요


LIST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