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LL
저탄소강판이란
두께 3mm 미만의 압연 강판을 일반적으로 강판(Sheet)이라고 한다. 금속캔은 저탄소 냉간압연 강판을 베이스 소재로 사용하며 이를 원판 혹은 블랙 플레이트(BP)라 부른다.
저탄소강판 압연 횟수에 따른 분류
- SR 강판(Single reduced plate) : 1회 압연판
- DR 강판(Double reduced plate) : 2회 압연판
저탄소강판의 종류
- L형(Low metalloid steel/Low residual steel) : 부식성에 대한 내식성이 강하게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됨
- MR형(Medium residal steel) : 부식성을 일으킬 수 있는 제품에 사용됨 *용기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됨
- MC형 : 낮은 부식 유발제품에 사용
- N형 : 질소 부여용 에어로졸 용기에 주로 사용
- D형(Drawing steel) : 스트레치스트레인이 요구되거나 심교가공이 요구되는 용기용에 주로 사용
저탄소강판을 사용하는 표면도금강판 종류 및 명칭
- 저탄소강판/원판(Black steel plate/BP)
- 주석도금강판(Tin plated steel/TP)
- 저주석도금강판(Low tin steel/LTS)
- 주석니켈도금강판(Tin nickel-coated steel/TNS)
- 무주석도금강판(Tin free steel/TFS/ECCS)
- 니켈도금강판(TFS-NT)
- 크롬도금강판(TFS-CT)
주석도금강판에 사용되는 저탄소강판/원판
- 킬드강(Killed steel) : 완전히 탈산(산소를 제거)한 강판
용어
reduce : 줄이다
plate : 도금
metalloid : 비금속
residual : 남은, 잔여
항복점 : 탄성한계를 넘어 되돌아가지 못하는 점
인장강도 : 물체가 잡아당기는 힘에 견딜 수 있는 최대한의 응력
연신율 : 인장시험시 재료가 늘어나는 비율
소둔 : 금속재료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상온에
LIST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