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LL
한국판 뉴딜 2.0인 <휴먼 뉴딜>에서 8조 원 규모의 강력한 '청년대책'을 내세웠습니다. 청년들의 안정적인 경제 활동과 생활환경을 지원해주는 '청년적금 4종'이 주요 내용인데요. 본 포스팅에서는 3년간 월 10만 원 저축 시, 정부지원금 1,040만 원을 더해 총 1,440만 원을 수령할 수 있는 청년 내일저축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'청년적금 4종'에는 '청년 내일저축계좌', '청년희망적금', '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트', '군장병 장병내일준비적금'이 있습니다. 해당 상품들은 연소득 구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뉩니다.
연소득 구간
2,200만 원 이하 / 3,600만 원 이하 / 5,000만 원 이하
지금부터 '청년적금 4종' 중 청년 내일저축계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청년 내일저축계좌
지원 대상
- 연소득 2,200만 원 이하
- 현재 근로 활동 중이며, 근로·사업 소득이 있는 청년(과외나 아르바이트 포함)
- 19~39세 청년
저축 만기일
- 3년
지원 혜택
- 3년간 매달 10만 원 저축 시, 정부가 1,080만 원을 지원해 총 1,440만 원 수령
지원 요건
- 3년간 근로활동 지속
- 국가공인자격증 취득(통장 가입 기간 내 1개 이상)
- 연 1회 교육 총 3회 이수
신청 기간
- 3차 (133명) : 2021년 8월 2일 ~ 2021년 8월 19일
- 4차 (133명) : 2021년 10월 11일 ~ 2021년 10월 28일
신청 방법
- 주민등록 주소지 읍ㆍ면ㆍ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
정리하지면 '청년 내일저축계좌'는 청년 '1+3 특혜' 상품입니다.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, 정부에서 30만 원을 보태 총 40만 원 저축이 가능합니다. 3년 만기일 동안 본인 저축액 360만 원 + 정부 지원금 1,080만 원, 총 1,440만 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 정부에서 청년들에게 주는 강력한 특혜인 만큼, 자격조건을 충족하시는 분들께서는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LIST
댓글